728x90

상담이론 51

합리∙정서∙행동 치료(5)

i) 치료과정REBT상담은 단기치료를 지향합니다. 또, 인간을 가치평가 하기보단 무조건적 자기 수용, 무조건적 타인수용의 바탕을 가지고 접근합니다. 1) 초기①상담자와 내담자 사이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②상담을 시작하기 전  REBT에 대한 교육을 시킵니다.예를 들어 상담 시작 전 REBT에 대한 조그마한 책자를 주며 내용을 학습시킵니다. ③내담자의 정서, 행동적 문제들을 충분히 탐색하여 구체적으로 열거합니다. 이후 치료 목표와 계획을 설정합니다.예시로 C-A-B과정을 통해 내담자의 사고의 융통성, 문제해결 능력, 이차적 징후 등을 판단합니다.또,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파악하기 위해 거듭 추론을 통해 비합리적 신념을 확인합니다. 2) 중기①치료계획에 따라 본격적 개입을 시도합니다...

상담이론 2024.03.27

합리∙정서∙행동 치료(4)

i) 치료 목표와 원리 치료목표 ①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확인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합니다. ②비합리적 신념의 수정을 통해 자기 파괴적 정서, 행동을 수정합니다. 치료원리 ①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탐색하기 위해 C-A-B과정을 통해 탐색을 하며 내담자의 인지적 융통성, 문제해결 능력, 이차적 장애 징후를 확인합니다. 이때 비합리적 신념 탐색은 거듭하는 질문을 통한 추론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②이후 논박(D)를 통해 비합리적 신념의 인지, 정서, 행동을 수정하게 되는 효과(E)를 경험합니다. 이후 새로운 정서 상태를 경험합니다(F) 기법 ①인지적 기법 1)강의식 방법: 치료자는 REBT에 개념을 설명하며,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구분을 통해 비합리적 신념을 인식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대처하기 ..

상담이론 2024.03.26

합리∙정서∙행동 치료(3)

i) ABCDEF모델(성격이론의 핵심) 그리하여 인간이 나타내는 정서,행동의 원인과 과정들을 설명하고있습니다. 또, 만약 부적응적 정서, 행동을 나타낼 때 어떻게 인지의 수정을 통해 적응적 정서,행동으로 수정하는지를 ABCDEF모델을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A(선행사건): 인간이 삶을 살아가며 겪는 경험, 사건들을 의미합니다. B(신념): 선행사건 A을 대처하기 위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사고 체계입니다. C(결과): 개인의 정서,행동적 결과입니다. ------> 인간의 감정, 행동을 설명 D(논박): 신념체계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 논리적, 경험적, 철학적, 실용적, 대안적 1. 논리적: "당신의 생각이 맞다는 논리적 근거가 무엇인가요?" 2. 경험적: "그러한 경험을 한번이라도 해보신 적..

상담이론 2024.03.26

합리∙정서∙행동 치료(2)

i) 주요 개념과 성격이론 1) 철학적 배경 ①에픽테투스: "인간이 고통을 느끼는 이유는 사건 그 자체가 아닌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 달려있다" ②패러다임: 옳고/그름 또 내가 좋은 것, 기쁜 것의 생각의 틀(패러다임)이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한다면 과감히 수정한다 ③논리적 실증주의: 인간에게 진리를 절대적인것이라 주입하지 않는다 (인간을 가치 평가 하기 보단 수용해야 한다) 2) 인간관, 행동 동기 1) 엘리스는 인간을 강점과 단점 모두 가지는 양면적인 존재로 설명합니다. 그 이유는, 인간은 합리적 신념을 통한 목표달성 할 능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인생을 망치는 것 모두 가능하다 말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환경의 영향을 무시하지 않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생물학적 원인에 있다 말합니다. 예시로,..

상담이론 2024.03.24

합리∙정서∙행동 치료(1)

i) 개요 ①합리∙정서∙행동 치료의 핵심은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상호작용이 핵심입니다. 또, 정서 및 행동은 인지에 의해 유발된다 말합니다. 이때 1)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상호작용과 2) 행동 및 정서는 인지로 유발된다는 말은 대치되는 내용이지만 그 말속에는 속 뜻이 숨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합리∙정서∙행동에서 정서, 행동보다는 인지의 개입이 수월하며 변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엘리스는 사람들이 부적응적 행동을 유발하는 이유는 그 사건 또는 상황 자체에 원인이 있다 보기보단 사건 또는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 증상을 유발한다 말합니다.(외부환경 x) 그리하여 합리∙정서∙행동치료에선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포착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상담 목표를 설정합니다. ..

상담이론 2024.03.23

행동주의(6)

i)개요 행동치료는 대부분 단기치료를 지향합니다. 또한, 행동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과 적응적 행동은 주어진 상황안에서 판단합니다. 1)내담자 내면의 심리적 작용이나 속성에 빗대어 판단하지 않으며 실증적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2)내담자의 내부 원인을 찾기보단 부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습니다 3)DSM을 이용하기 보단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그 이유는 DSM의 심리적 진단은 행동주의에서는 반대하기 때문에 특정 부적응적 행동의 치료과정이나 효과를 검증한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현대 심리치료에서는 보험회사의 진단명을 요구하기 때문에 DSM과 함께 유동적으로 사용합니다. ii)상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행동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기능합니다. 1)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

상담이론 2024.03.21

행동주의(5)

i)적응적 행동을 증진하는 기법 (1)행동 조성법: 행동 조성법은 조작적 조건형성에 근거하여 부정적 행동에 대해선 강화를 제거하고 적응적 행동에 대해선 강화를 적용하게됩니다. 이것은 목표행동이 너무 복잡할때 사용합니다. 목표행동을 하위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강화를 제공하여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게 됩니다. 예시로 수업시간에 산만한 행동을 할때 어떠한 관심을 주지 않으며 자리에 5분 앉으면 강화하고 이후 10분 20분 늘려가게 됩니다. 이때 각 하위단계의 마지막 부분에 강화를 제공하며 최종적인 목표(표적 행동)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처럼 행동조성법은 부적응적 행동은 교정하고 긍정적 행동을 습득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때 조성법에서 주의할점은 1)이미 형성된 행동에는 강화를 제공하지 않으며 2)표적..

상담이론 2024.03.20

행동주의(4)

i) 치료목표①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하며 긍정적 행동을 습득하여 내담자의 적응을 돕습니다.② 내담자의 적응을 돕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계획한다 >> 행동주의 치료의 최대 장점은 각 문제행동에 따라 구체적인 치료계획과 기법을 선택 적용 하는 것입니다.>>행동치료에서는 주로 처벌 보단 강화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유는 강화를 통해 내담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ii) 치료기법1. 부적응 행동 감소 기법 1) 소거: 이전에 강화된 부정적 행동을 이젠 강화를 받지 못하여 부적응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것예시로 아동의 부적응적 행동의 원인이 교사, 부모의 관심과 주의라면 부적응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 더 이상주의와 관심을 주지 않게 되며 부적응 행동의 빈도가 줄어드는 것 2) 혐오적 조건형성..

상담이론 2024.03.15

행동주의(3)

i)정신병리 원인①불안장애: 행동주의 치료에서 불안장애는 특정공포증,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병리적 원인과 치료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주는 공헌을 하였다. 그중 특정공포증은 치료하는데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1)특정공포증: 모우어 2요인이론(조건형성 이론)으로 공포가 생성되고 유지 및 강화되는 과정을 학습의 원리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관찰학습으로 인한 특정공포증 형성도 있습니다. ※관찰학습을 통한 공포증 형성 예시로는 어머니가 개를 무서워 하는 경우 자녀는 어머니가 개를 무서워하는 행동과 언어적 정보들을 관찰하고 개에 대한 공포증을 형성하게됩니다. 또, 모우어 2요인이론에 기반하여 공포형성은 고전적 조건형성으로 공포를 유지 및 강화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

상담이론 2024.03.13

행동주의 상담(2)

i) 주요 개념과 성격이론행동주의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 학습된 것이라 가정하며 몇 가지 가정에 근거하여 설명합니다. 첫째, 개인의 특성은 관찰가능한 행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말은 개인의 성격또한 개인의 내면적 특성에 규정되기보다는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독특한 행동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또, 부적응적 행동 또한 모든 관찰 가능한 문제행동을 분석되어 이해될 수 있습니다. 둘째, 인간의 대부분 행동은 학습된 것입니다. 대부분의 부적응적 행동들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 후천적 학습을 통해 회득한 것입니다. 셋째, 문제행동을 학습한 것이라면 다시 제거하거나 긍정적 행동을 학습하여 적응을 돕는다 마지막, 심리치료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치료과정 속에서 진행되어야한다. ①고전..

상담이론 2024.03.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