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개요
①합리∙정서∙행동 치료의 핵심은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상호작용이 핵심입니다. 또, 정서 및 행동은 인지에 의해 유발된다 말합니다.
이때 1)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상호작용과 2) 행동 및 정서는 인지로 유발된다는 말은 대치되는 내용이지만 그 말속에는 속 뜻이 숨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합리∙정서∙행동에서 정서, 행동보다는 인지의 개입이 수월하며 변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엘리스는 사람들이 부적응적 행동을 유발하는 이유는 그 사건 또는 상황 자체에 원인이 있다 보기보단 사건 또는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 증상을 유발한다 말합니다.(외부환경 x)
그리하여 합리∙정서∙행동치료에선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포착하고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상담 목표를 설정합니다.
③이때 문제 발생 원인을 인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ABC모델) 하나 개입과정에선 인지, 정서, 행동 통합적 과정으로 기법을 적용합니다.
ii) REBT와 CBT의 차이점
1) REBT는 논박이나 선생님 같은 모델을 통해 도전적으로 상담을 이어가지만, CBT의 경우 협동적 경험주의에 근거하여 소크라 테스식 문답법 등을 활용하여 부드러운 상담자 모델로 문제를 풀어가는 동반자로서 기능합니다.
2) REBT의 경우 바로 심도 깊은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탐색하는 반면, CBT의 경우 자동적 사고 - 중간신념 - 핵심신념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지의 원인을 추적해 갑니다.
3) REBT는 인간의 병리를 비합리적 신념에 유발하며 병리의 원인을 따로 구분하지 않았지만, CBT의 경우 특수성 가설에 근거하여 각 병리마다 독특한 내용과 사고의 자동적 사고, 인지도식을 가진다 설명합니다.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정서∙행동 치료(3) (0) | 2024.03.26 |
---|---|
합리∙정서∙행동 치료(2) (0) | 2024.03.24 |
행동주의(6) (0) | 2024.03.21 |
행동주의(5) (0) | 2024.03.20 |
행동주의(4) (0) | 2024.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