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행동주의(6)

임뚱 2024. 3. 21. 20:33
728x90

i)개요

행동치료는 대부분 단기치료를 지향합니다. 또한, 행동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과 적응적 행동은 주어진 상황안에서 판단합니다.

 

1)내담자 내면의 심리적 작용이나 속성에 빗대어 판단하지 않으며 실증적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2)내담자의 내부 원인을 찾기보단 부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습니다

3)DSM을 이용하기 보단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그 이유는 DSM의 심리적 진단은 행동주의에서는 반대하기 때문에 특정 부적응적 행동의 치료과정이나 효과를 검증한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현대 심리치료에서는 보험회사의 진단명을 요구하기 때문에 DSM과 함께 유동적으로 사용합니다.

 

ii)상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행동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기능합니다.

1)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 및 감소 시키기 위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입장입니다. 내담자는 상담자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수행하는 학습자입니다.

2)내담자는 상담자와 함께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입장입니다.

 

iii)상담목표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 및 감소 시키며 적응적 행동을 학습하도록 돕습니다.

 

iv)치료과정

행동치료는 크게 진단과 개입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1) 진단이란 부적응적 행동을 기능적으로 분석하여 부적응 행동을 강화하는 요인을 찾습니다. 또, 목표 행동을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설정합니다.(인터뷰, 관찰, 내담자 진술, 주변 인물 진술, 자신의 역기능에 대한 빈도 및 강도 체크리스트 활용)

2) 개입이란 목표행동을 돕기 위한 치료기법을 적용하는 과정입니다.

 

①내담자의 문제 진단

앞서 설명한 진단의 의미하는 시기입니다. 내담자의 행동이 환경안에서 어떠한 부적응적 행동으로 기능하며 그것을 강화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이후 내담자와 상담자의 합의하에 목표행동을 설정합니다.

 

이때 진단은 인터뷰, 관찰, 내담자 진술, 주변 인물 진술, 내담자 부적응적 행동 빈도 및 강도 체크리스트 등을 활용합니다.

 

②치료 개입

목표 행동이 설정되면 상담자는 내담자의 행동 변화를 위한 치료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때 치료계획은 각 행동에 적절한 방법으로 계획합니다.

 

이때 내담자에게 문제행동의 기능적 원인과 개입방식을 설명합니다. 만약, 내담자가 꿈분석, 자유연상과 같은 치료를 기대하였다면 행동치료에 대해 간단하게 학습 시킨다음 치료를 진행해야 치료적 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예를들어 강박적 사고 및 행동을 보인다면 노출 및 반응방지법, 공포증이 있다면 체계적 둔감법, 사회적 기술 향상이라면 모델링 및 자기주장훈련, 규칙적인 생활을 위해선 생활 계획 세우기 등을 적용합니다.

 

③치료 평가

행동치료에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치료자는 치료 계획을 진행하며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의 변화 수준과 적응적 행동의 학습 수준을 평가합니다.

 

이때 중독, 체중, 공포증은 관찰과 수치화가 가능한 반면 인지 또는 정서적 변화는 수치화 및 관찰이 불가능하여 내담자와 함게 합의하에 결정한 것을 평가합니다.

 

④재발방지 계획

치료목표를 달성하면 재발 방지 계획을 수립하며 종결을 준비합니다.

 

 

 

 

728x90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정서∙행동 치료(2)  (0) 2024.03.24
합리∙정서∙행동 치료(1)  (0) 2024.03.23
행동주의(5)  (0) 2024.03.20
행동주의(4)  (0) 2024.03.15
행동주의(3)  (0)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