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개요 행동치료는 대부분 단기치료를 지향합니다. 또한, 행동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과 적응적 행동은 주어진 상황안에서 판단합니다. 1)내담자 내면의 심리적 작용이나 속성에 빗대어 판단하지 않으며 실증적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2)내담자의 내부 원인을 찾기보단 부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습니다 3)DSM을 이용하기 보단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그 이유는 DSM의 심리적 진단은 행동주의에서는 반대하기 때문에 특정 부적응적 행동의 치료과정이나 효과를 검증한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현대 심리치료에서는 보험회사의 진단명을 요구하기 때문에 DSM과 함께 유동적으로 사용합니다. ii)상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행동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기능합니다. 1)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