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행동치료 3

행동주의(6)

i)개요 행동치료는 대부분 단기치료를 지향합니다. 또한, 행동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과 적응적 행동은 주어진 상황안에서 판단합니다. 1)내담자 내면의 심리적 작용이나 속성에 빗대어 판단하지 않으며 실증적 행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2)내담자의 내부 원인을 찾기보단 부적응적 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습니다 3)DSM을 이용하기 보단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그 이유는 DSM의 심리적 진단은 행동주의에서는 반대하기 때문에 특정 부적응적 행동의 치료과정이나 효과를 검증한 치료편람을 이용합니다. ※현대 심리치료에서는 보험회사의 진단명을 요구하기 때문에 DSM과 함께 유동적으로 사용합니다. ii)상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행동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치료적 관계에서 기능합니다. 1)상담자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

상담이론 2024.03.21

행동주의(4)

i) 치료목표①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하며 긍정적 행동을 습득하여 내담자의 적응을 돕습니다.② 내담자의 적응을 돕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변화를 계획한다 >> 행동주의 치료의 최대 장점은 각 문제행동에 따라 구체적인 치료계획과 기법을 선택 적용 하는 것입니다.>>행동치료에서는 주로 처벌 보단 강화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유는 강화를 통해 내담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ii) 치료기법1. 부적응 행동 감소 기법 1) 소거: 이전에 강화된 부정적 행동을 이젠 강화를 받지 못하여 부적응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것예시로 아동의 부적응적 행동의 원인이 교사, 부모의 관심과 주의라면 부적응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 더 이상주의와 관심을 주지 않게 되며 부적응 행동의 빈도가 줄어드는 것 2) 혐오적 조건형성..

상담이론 2024.03.15

행동주의 상담(1)

i)행동치료의 개요행동치료는  과학적, 이성적, 가치중립적에 근거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는 심리치료입니다. 이런 행동주의 치료에서는 인간의 부적응적 행동의 문제를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관찰 가능한 행동, 측정가능의   객관적인 설명체계와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때 좁은 의미의 행동주의는 학습의 결과는 행동 변화로 나타납니다. 이 개념을 행동치료에 접목시켜보면 인간의 부적응적 행동을 학습하게된 환경과 그 행동을 지속하고 강화시키는 요인을 찾아 수정하고 제거합니다. (행동치료는 불안장애에 탁월한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다) ※정신역동 치료와 다른 행동주의 치료1. 인간 내면적 작용과 과거의 경험을 중시하는 정신역동 치료와 달리 행동주의 치료는 외현적..

상담이론 2024.03.0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