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정신병리 원인
①불안장애: 행동주의 치료에서 불안장애는 특정공포증,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병리적 원인과 치료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주는 공헌을 하였다. 그중 특정공포증은 치료하는데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1)특정공포증: 모우어 2요인이론(조건형성 이론)으로 공포가 생성되고 유지 및 강화되는 과정을 학습의 원리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관찰학습으로 인한 특정공포증 형성도 있습니다.
※관찰학습을 통한 공포증 형성 예시로는 어머니가 개를 무서워 하는 경우 자녀는 어머니가 개를 무서워하는 행동과 언어적 정보들을 관찰하고 개에 대한 공포증을 형성하게됩니다.
또, 모우어 2요인이론에 기반하여 공포형성은 고전적 조건형성으로 공포를 유지 및 강화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명들은 각 개인마다 특정공포증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조건자극과 반응이 다양해서로 설명합니다.
행동치료는 특정공포증을 치료하는데 가장 효과적인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법으로는 체계적 둔감법, 노출법, 참여적 모방 학습법, 이완훈련이 있습니다.
⑴체계적 둔감법: 신체 이완 상태에서 약한 공포자극에서 부터 점차 강한 공포자극에 노출시켜 나가게 됩니다.
⑵노출 치료: 특정 공포증 치료에 자주사용 되는 치료기법입니다. 실제 공포상황에 노출 시키는 실제적 노출법, 상상을 통해 공포상황에 노출 시키는 심상적 노출법 또 공포자극에 점차 노출시키는 점진적 노출법, 단번에 강한 공포자극에 노출시키는 홍수법(급진적 노출법)으로 구성됩니다.
⑶참여적 모방 학습법: 다른 사람이 자신의 특정 공포증에 대해 불안이나 두려움 없이 대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공포증을 치료하는 기법입니다.
⑷이완 훈련: 불안과 신체적 이완은 공존 할 수 없다는 원리에 의해 공포자극 상황에 신체적 이완을 통해 공포증을 치료하는 기법입니다.
2)범불안장애: 특정 공포증이 특정 상황, 대상에 의해 공포형성되는 것이라면 범불안 장애는 일상생활의 여러 상황에서 불안을 조건형성 하여 일반화된 결과로 설명합니다. 그리하여 범불안장애 환자들이 불안의 이유를 찾지 못하는 이유는 생활전반에서 촉발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3)강박장애: 반복적인 사고와 행동을 나타내는 강박장애는 특정한 강박상황을 통한 강박행동으로 불안을 덜 느끼게 하는 부적강화를 통해 형성됩니다. 이때 노출 및 반응방지법이 효과적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노출 및 반응방지법: 강박을 이르키는 자극(더러운 물질을 만진거)이나 사고(내 손에 병균이 묻어있다는 생각)에 노출 시키나 강박행동(손을 씻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⓵강박 자극 및 사고에서 강박행동을 하지 않고 견뎌내며 ⓶그들이 두려워 하는 결과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하게 됩니다.
②우울증: 행동주의 관점에서 우울증은 긍정적 강화의 약화 및 우울증 유발 자극에 지속적 노출로 설명합니다.
우울증 유발 3가지 유형 1)환경적 문제 2)사회적 기술 부족 3)인식 부족(민감성)
※학습된 무기력: 피할 수 없는 상황이나 극복 할 수 없는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그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에도 자포자기하는 경우입니다. 이것은 교육이론에서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는 이론중 하나입니다.
③섭식장애: 섭식장애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으로 구분합니다.
행동주의 관점에서 섭식장애는 현대사회에 날씬한 사람만이 강화를 받는다는 인식에 음식 섭취가 부적강화로 작용하여 뚱뚱함과 음식 섭식의 처벌로인식되어 섭식 중단이 강화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또한, 접근-회피 관점에서 음식 섭취를 회피하게되는 이유는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발생되며 접근으로 기능하면 폭식증을 유발합니다.
④알콜중독: 술과 술을마셔 즐거움,쾌락이 고전적 조건형성의 연합을 통해 술 섭취의 행동을 학습하고 이후 힘들거나 불안할때 술을 먹어 보상하는 기능을 통해 유지 및 강화하게 됩니다. 또 관찰학습을 통해 술을 배우기도 합니다.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5) (0) | 2024.03.20 |
---|---|
행동주의(4) (0) | 2024.03.15 |
행동주의 상담(2) (0) | 2024.03.11 |
행동주의 상담(반두라) (0) | 2024.03.09 |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 개념!!(중요) (0) | 2024.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