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합리∙정서∙행동 치료(3)

임뚱 2024. 3. 26. 17:00
728x90

i) ABCDEF모델(성격이론의 핵심)

그리하여 인간이 나타내는 정서,행동의 원인과 과정들을 설명하고있습니다. 또, 만약 부적응적 정서, 행동을 나타낼 때 어떻게 인지의 수정을 통해 적응적 정서,행동으로 수정하는지를 ABCDEF모델을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A(선행사건): 인간이 삶을 살아가며 겪는 경험, 사건들을 의미합니다.

B(신념): 선행사건 A을 대처하기 위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사고 체계입니다.

C(결과): 개인의 정서,행동적 결과입니다.

------> 인간의 감정, 행동을 설명

 

D(논박): 신념체계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 논리적, 경험적, 철학적, 실용적, 대안적

1. 논리적: "당신의 생각이 맞다는 논리적 근거가 무엇인가요?"

2. 경험적: "그러한 경험을 한번이라도 해보신 적 있나요?"

3. 철학적: "그러한 생각이 당신을 즐겁게 하나요?"

4. 대안적: "그럼 다른 대처할만한 생각은 없나요?"

5. 실용적: "그 생각이 당신의 목표를 이루는 것에 도움이 되나요?"

 

E(효과): 논박을 통한 인지, 정서, 행동적 변화

1. 인지적: 시험에 떨어진 거 가지고 나의 전체를 부정하는 것은 잘못된 거구나!

2. 정서적: 시험에 떨어진건 우울한 게 아니라 실망스러운 거구나!

3. 행동적: 다음 시험 합격을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해 봐야겠어!

 

F(감정): 합리성을 찾은 이후 새로운 감정과 철학적 변화를 가져온 상태

----> 치료과정

 

※2차 과정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논박 이외에도 다양한 인지, 정서, 행동적 수정 기법은 통합과정의 치료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REBT입니다. 반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방식에서는 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ii) 정신병리

 

엘리스는 내담자들의 부적응적 행동의 원인이 비합리적 신념에 의해 유발된다 설명합니다. 또, 유형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의 특성이 다르지 않다 말하였습니다.

 

1) 비합리적 신념

※비합리적 신념의 다른 표현

경직 됐다, 자동적이다(무의식적 사고체계), 환경 변환에 저항한다(의식적 사고체계), 비실용적이다, 현실과 무관한다

 

1. 당위적 사고[자신, 타인 또는 환경 - must, should '반드시~해야 한다'의 형태]

1) 자신에 당위적 사고: 스스로 현실적으로 이루기 어려운 과제(요구)를 하는 형태로 필연적으로  좌절을 경험하게 됩니다.

ex) "현재 전교 100등인 나는 이번 시험에서 1등 해 야해 아니면 무능하고 가치 없는 인간쓰레기야" - "필연적으로 좌절을 경험하게 되며 우울, 자기 비난 등 형태를 경험한다." (나는~해야 한다)

2) 타인에 당위적 사고: 타인에 대한 당위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사고에 따르도록 타인에게 요구합니다.

ex) "이 백화점 직원들은 나에게 항상 대우해줘야 하며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해" - "그렇지 않으면 나쁜 사람들이야" (너는 ~ 해야 한다)

3) 세상에 당위적 사고: 세상에 대한 당위적 사고입니다. ex) "세상은 항상 반드시 내가 원하는 대로 돌아가야 해" - "그렇지 않으면 혐오스럽고 참을 수 없는 곳이야" (세상은 ~ 해야 한다) 

 

2. 파국화: 당위적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의 결과를 과장되어 해석하는 것입니다.

 

3. 고통에 대한 낮은 인내: 당위적 요구가 죄절된 상황을 참을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입니다.

 

4. 자신/타인 비하: 당위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 자신 및 타인은 비난받아도 마땅하다는 생각입니다.

 

 

 

 

728x90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정서∙행동 치료(5)  (0) 2024.03.27
합리∙정서∙행동 치료(4)  (0) 2024.03.26
합리∙정서∙행동 치료(2)  (0) 2024.03.24
합리∙정서∙행동 치료(1)  (0) 2024.03.23
행동주의(6)  (0) 2024.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