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주요 개념과 성격이론
1) 철학적 배경
①에픽테투스: "인간이 고통을 느끼는 이유는 사건 그 자체가 아닌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 달려있다"
②패러다임: 옳고/그름 또 내가 좋은 것, 기쁜 것의 생각의 틀(패러다임)이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한다면 과감히 수정한다
③논리적 실증주의: 인간에게 진리를 절대적인것이라 주입하지 않는다 (인간을 가치 평가 하기 보단 수용해야 한다)
2) 인간관, 행동 동기
1) 엘리스는 인간을 강점과 단점 모두 가지는 양면적인 존재로 설명합니다.
그 이유는, 인간은 합리적 신념을 통한 목표달성 할 능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인생을 망치는 것 모두 가능하다 말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환경의 영향을 무시하지 않지만 더 근본적인 원인은 생물학적 원인에 있다 말합니다.
예시로, 부모는 아동에게 게으름 피우지 않도록 가르쳤지만 아동은 게으름을 피우게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인간의 행동 동기는 첫째, 개인적/사회적 쾌락을 원함과 동시에 고통은 회피하려 합니다. 둘째, 생존하려는 목표로 행동합니다.
3) 비합리적 신념과 합리적 신념이란?
비합리적 신념과 합리적 신념의 차이는 비실용적인 패러다임에 갇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실용적 패러다임으로 넘어가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냐 없냐 차이입니다.
예시로 현재 옳고/그름에 빠져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면 생각을 바꾸어 행복을 위해 잠시 살아가야 하며 이후 다시 옳고/그름을 유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핵심은 생각의 적절한 균형입니다. 하나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1) 실용성 중심의 패러다임을 모르는 상태 2) 알고는 있지만 실용성으로 넘어가려 하니 불안한 것으로 정의합니다.
4) 건강한 감정과 건강하지 못한 감정의 구분
인간이 경험을 통해 긍정, 부정감정 모두 상황에 맞다면 그것은 건강한 감정입니다. 하나, 건강하지 못한 감정은 1) 상황에 적절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거나 2) 두려워서 회피하려는 경향으로 발생됩니다. - 이것은 비합리적 신념에 의해 유발됩니다.
5) 바람과 당위적 요구 구분
①바람: 중요한 일이나 인간관계에서 잘되기를 바라는 소망으로 설명합니다.
②당위적 요구: 자신, 타인, 환경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와 요구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드시~해야 한다] 이것은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질 수 없어 필연적으로 부정 정서, 행동을 경험하게 됩니다. 엘리스는 이런 당위적 요구가 병리의 근원이라 설명합니다.
6)인지,정서, 행동은 상호인과적 관계지만 문제 분석시 인지에 초점을 두는 이유
1. 인지의 수정은 정서, 행동의 수정보다 노력과 시간적으로 효과적이다(비용/시간)
2. 부적응적 정서, 행동의 핵심은 인지이며 다른 정서,행동 보다 인지의 접근이 쉽다.(부적응 원인/접근 용이성)
3. 인지의 수정은 다른 정서, 행동의 변화에 확산적이다
4. 인지의 수정은 미래의 고난과 역경, 철학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확산성)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리∙정서∙행동 치료(4) (0) | 2024.03.26 |
---|---|
합리∙정서∙행동 치료(3) (0) | 2024.03.26 |
합리∙정서∙행동 치료(1) (0) | 2024.03.23 |
행동주의(6) (0) | 2024.03.21 |
행동주의(5) (0) | 2024.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