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인간중심 상담 강조하는 4가지
1. 인간의 기본 동기는 자기실현을 하려 행동한다.
*인간의 기본 동기는 자기실현을 통해 보다 나은 존재로써 성장하며 기능하고자 합니다.
*이때, 상담자는 내담자에 신뢰, 공감, 존중의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다
2. 현상학적 관점을 강조합니다.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선 개인내면적, 주관적 세계의 바탕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 현상학적장은 내담자가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판단 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3. 실현화 경향성을 강조합니다. - (선천성)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하여 더욱 가치 있는 존재로 성장하려 한다
*이때 실현화 경향성을 방해하는 요인은 환경 단 하나뿐
1)반-항상성: 안전성을 유지하기보다 성장에 분투
2)반-결정성: 과거에 결정되는 것이 아닌 현재 또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존재
3)초-생물학적: 생물학적 존재가 아닌 자기(self)적 의도성을 가진 존재이다
4. 자가치유, 자가성장이 가능한 존재이다.
ii) 인간 의식의 고유성
1. 자각과 성찰의 능력을 지닌다. <->(자신의 내적, 외적 체험을 돌아볼 수 있다)
2. 메타인지가 가능하다
iii) 주요 개념
1) 유기체적 욕구
*유기체(외적+내적)적 욕구란 인간이 현상학적장에서 자연스럽게 느끼는 욕구입니다.
2) 자기 개념/이상자기/현실자기
*자기 개념: 로져스가 말하는 자기 개념이란 개인이 경험하는 모든 것을 통합하여 자신에 대한 가치를 자기 개념이라 말함 - 개인의 경험에 변화한다!
*이상자기: 이상자기란 자신이 되고자 하는 자기개념로써 긍정적 존중의 욕구와 자기를 포함하고 있다
*현실자기: 현재 자신에 대한 자기 개념
-------------------> 병리 내용 쪽
3) 긍정적 존중의 욕구와 자기
*아동은 자기 개념이 발달하며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존중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짐
*이 것은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충족하고자 함
*이때, 자신에 유기체적 욕구가 부모나 주양육자에게 차단받고 상대의 가치관이나 요구를 수용하게 되어 문제를 발생시킨다.
4) 가치조건화
*유기체적 욕구와 경험 간에 왜곡이 없다면 방어 없이 받아들인다. - 유기체적 가치화 과정
*하나, 자신의 유기체적 욕구가 아닌 부모나 주양육자의 요구나 가치관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면 문제가 발생된다. 이 것을 통해 개인은 불쾌감이나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5)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
*자신이 원하는 유기체적 욕구와 경험 간의 불일치로 심리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하여 인간중심 상담에선 개인의 수용받지 못한 유기체적 욕구를 상담자가 이해하고 수용해 주어 치료가 진행된다.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
*로져스는 완전히 기능하는 사람 5가지를 가진 것이 건강한 성격의 소유자라 칭합니다.
1. 경험에 대한 개방성
*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현재를 왜곡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 그 과정에서 부끄러움이나 불안도 자신의 성장으로 받아들인다.
2. 창조적 삶
*자신의 삶을 창조적으로 해결해 나간다
3. 자유롭다
*타인의 평가에 살아가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간다
4. 실존적 삶
*'지금-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간다
5. 자신의 유기체적 신뢰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 유기체적 선택을 의심하지 않는다
※인간 성격을 구성하는 요소
1. 유기체: 육체+정신 모든 것이 자신의 유기체
2. 현상학적장: 현재 경험하는 모든 것을 개인 내면적, 주관적으로 해석한다
3. 자기 또는 자기 개념: 현상학적장에서 경험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자기 개념을 형성하며 이상자기+현실자기 모두 자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