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CBT-(4)

임뚱 2024. 4. 3. 17:51
728x90

i) 치료목표

*부정적 자동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수정

*환경 또는 사건을 해석할 때의 인지적 오류를 수정

*부정적 인지도식을 합리적 인지도식으로 수정

 

ii) 치료원리

*비교적 변화가 쉬운 자동적 사고를 먼저 다룬 이후 중간신념 - 핵심신념 순으로 인지를 수정해 갑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자동적사고를 인지하지 못하지만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점차 인지해갑니다.

 

iii) 치료기법

1. 인지모델에 근거한 사례개념화: 인지치료에서 사례개념화란 협동적 경험주의에 근거하여 내담자의 주관적 사건 또는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인지모델을 통해 자동적 사고 - 중간신념 - 핵심신념을 가설형식으로 작업한다는 뜻입니다.

 

*협동적 경험주의: 상담자는 내담자의 현상학적장에 근거하여 문제들을 이해해야 한다 말합니다.

이때, 상담자와 내담자는 동등한 관계에서 기능하며 내담자는 능동적인 주체로 치료에 참여하며 교육과 훈련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얻게 됩니다.

 

2. 소크라 테스식 대화: 소크라테스 학자의 문답 방식에 기인한 기법으로 내담자의 인지를 수정하기에 사용되는 질문법입니다.

*엘리스의 논박법보다는 부드러운 질문법을 사용하여 좀 더 능동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찾아나가게 됩니다.

 

또한, 상담자는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고 내담자 자신이 생각하게하여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게 됩니다.

 

※소크라 테스식 대화법과 다른 하향식 화살표 기법

하향식 화살표 기법은 내담자의 자동적 사고의 근원인 핵심신념을 파악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그리하여 소크라 테스식 대화법 보다 수직적인 질문으로 내담자의 신념을 파악합니다.

 

※소크라 테스식 대화법과 비슷한 삼단논법

1) 그 신념의 증거는 무엇인지?

2) 그 신념을 다르게 생각해 볼 수는 없는지?

3) 그 신념을 통해 예상되는 결과는 어떤 것인지?

 

이 3가지의 질문법을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자동적 사고에 대해 인식할 수 있습니다.

 

3.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란 내담자가 환경에서 경험한 불쾌한 사건과 감정들을 상황 - 감정- 자동적 사고 - 합리적 사고- 결과 순으로 작성하여 자신의 자동적 사고를 알아차리고 합리적 사고로 바꿔보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자기 관찰과 합리적 사고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자기 관찰에 유용한 자기 모니터링

내담자의 감정, 행동들을 상담장면 이외에서 녹화 또는 글로 쓰기를 통해 자신을 관찰해 보는 기법입니다.

 

4. 탈파국화(What~if~): 일어날 확률이 적은 일들을 너무 지나치게 생각하는 내담자에게 사용하는 기법으로 "그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되나요?"와 같은 질문을 하게 됩니다.

 

ex) 학생: 이번 중간고사 시험을 망치면 제 인생은 끝이에요 / 상담자: 진짜 망치면 어떻게 되니? / 학생: 뭐.. 망치면 망치는 거죠?

 

5. 척도화 기법: 이 기법은 주로 이분법적 사고의 인지오류를 가진 내담자에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자신이 경험한 환경 또는 사건에 대해 너무 극단적으로 생각할 때 그 중간지점을 찾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ex) 시험 점수에 따라 성공 or실패의 양극단으로만 생각하는 내담자에게 시험 점수에 기준을 정하여 중간지점을 떠올리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6. 재귀인: 개인화의 인지오류를 가진 내담자에게 사용하는 기법으로

 

7. 인지 시연, 인지 타당성 평가(A-FROG)

인지시연이란 환경에서 경험하게 될 사건들에 대해 합리적 행동을 지속적으로 상상해 보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A(alive);그런 사고가 자신의 삶에 생기 있게 하는지?

F(Feel);그 사고가 당신의 삶에 기분 좋게 하는지?

R(Real);그 사고가 현실적인지?

O(other);그 사고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유용한지?

G(goal);그 사고가 당신의 목표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728x90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중심-(2)  (1) 2024.04.07
인간중심-(1)  (0) 2024.04.06
CBT-(3)  (0) 2024.04.03
CBT-(2)  (0) 2024.04.01
CBT-(2)  (2)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