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 - (3)

임뚱 2024. 4. 13. 22:02
728x90

i)정신병리

* 게슈탈트에서 심리적 문제의 원인은 단편적인 사건과 객관적인 정보들로 바라보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 말합니다.

* 그리하여 문제는 사건 뿐만 아닌 개인의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ex) 복통때문에 학교에 자주 결석하는 아이를 상담할때 그 아이의 가족, 교우관계, 학교생활 등 다양한 정보들로 평가해야합니다.

1. 문제의 원인

1) 자신의 욕구를 알아차리고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해소해야하지만 차단받게되며 미해결과제에 의해 유발

2) 접촉경계에서 과도한 분리 또는 연결을 통해 접촉경계 혼란을 유발하는 경우

 

※접촉경계 장애

* 내사: 내사란 타인 또는 환경에서의 가치관을 자신 기준의 가치판단 없이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것은 자신의 욕구를 자각하지 못하고 피상적으로 살아가는것에 익숙한 사람입니다. - 긍정적 기능은 다른 문화권을 수용할때 유용합니다.

ex)부모님의 말씀 중 "여자는 조신해야해", "남자는 용감해야해"와 같은 것들을 받아들이고 실제로 "나는 여자라 조신해야해"라고 생각하는 경우

 

* 투사: 자신이 감당하기 힘든 감정, 욕구 등을 타인에게 전가하는 것. 즉, 자신의 욕구를 타인의 것으로 느끼는 것입니다. 이러한 투사가 일어나는 이유는 자신의 욕구를 대리충족하며 욕구를 표현할때의 좌절을 보상 해주기 때문입니다. - 긍정적 기능은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것에 유용합니다.

 

* 반전: 자신이 환경이나 타인에게 하고자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그 행동을 자신에게 향하게하는 것

ex) 직장 상사가 너무 얄미워 한대 때리고싶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행동에 자신의 머리에 꿀밤을 한대 쥐어박는것

 

* 편향: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유발된 욕구, 감정들을 자신이 감당하기 힘들어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켜 버리는 것

ex) 학교 수학시간에 수업을 너무나도 듣기싫어 멍하니 창문 밖을 바라보는 학생

 

* 융합: 자신과 타인이 경계없이 하나의 동일체로써 지각하는 경우 입니다. 이 것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자각하지 못하며 표현하지도 못합니다.

ex) 부부사이에서 부인이 "남편의 생각은 나의 생각과 같고 가치관도 나랑 똑같아 우린 하나야"라고 생각하는 경우

 

* 자의식: 자신의 행동이 타인들에게 어떻게 비추어질지 과도하게 생각하여 발생하는 것 즉, 자신의 행동에 자신이 지나치게 관찰하는 현상입니다.

ex)타인에게 어떠한 부탁을 하려할때 그 부탁으로 인해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지 지나치게 생각하여 불안을 느끼는 경우

 

2. 신경증층 5단계

5단계의 신경증층은 개인의 욕구를 자각하고 표현하기까지의 단계를 표현한 것입니다.

 

1. 피상층: 이 단계는 자신의 욕구를 자각하지 못하고 외부의 요구에 피상적으로만 행하는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피상적으로 기능하여 무엇이 문제인지 알지 못합니다.

 

2. 역할연기층: 이 단계는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고 타인의 요구에 맞추어 역할연기만을 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역할연기하는 것이 마치 자신이 원해서 하는 것처럼 느끼게됩니다.

 

3. 교착층: 이 전의 역할연기단계에서의 요구들이 무의미하다 느끼며 그만두려 하지만 그럴만한 능력이 없어 실존적 딜레마에 빠지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선 무력감, 공허감을 경험합니다.

 

4. 내파층: 이 단계에선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자각하여 외부 환경과 접촉을 통해 해소하려 하지만 외부로 표출하게되면 타인과의 불화를 마주할지 모른다 생각하여 내면에 머무르게되는 단계입니다.

 

5. 폭발층: 이 단계에선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자각하고 환경과 타인의 접촉을 통해 실존적 참만남을 하는 단계입니다. 해소를 통한 개인적 성장을 이루게됩니다. 

728x90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치료 - (1)  (0) 2024.04.17
게슈탈트 상담 - (4)  (0) 2024.04.16
게슈탈트 상담 - (2)  (1) 2024.04.13
게슈탈트 상담 - (1)  (0) 2024.04.12
실존주의 치료 - (3)  (0)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