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REBT와 더불어 심리치료 분야에 인지의 중요성과 정교한 과정 및 개입법을 설명한 이론입니다.
이때 벡은 내담자들이 자신의 인지를 잘 지각하지 못하며 자동적으로 사고하는 자동적 사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들의 경우 환경, 자신, 미래에 대한 부정적 왜곡 및 과장된 사고를 자동적으로 하고있다고 말하며 우울증 치료에 많은 기여를 하였습니다.
철학적 배경
(1)스토아 철학: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이성적 판단을 중요시 하는 철학관을 가집니다.
"사람들은 그 사건 자체에 고통을 받기보단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 달라진다"
(2) 구성주의: 벡은 인간은 각자의 경험마다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는 구성주의 관점을 지향하며 치료자는 내담자의 눈을 통해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 말합니다. - 이 것은 현상학적 장을 의미하기도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고 > 그 경험에서 발생된 정서, 행동, 생리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며 > 부적응적 인지를 변화시키도록 노력합니다."
(3) 진화론적 관점: 인간의 행동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목표로 한다. - 유전을 부정하지 않았다는 관점!!
"인간이 느끼는 거절, 의존성 등은 진화론적 관점에 의해 유발된 감정과 행동입니다."
그 밖에도 (1) 협동적 경험주의, (2) 자가치유 모델 - 심리적 교육 모델 (3) 정신병리 특수성, 연속성 가설 (4) 인간은 유전[진화론]과 학습[스키마]의 산물 등 다양한 철학적 배경과 이론을 말합니다.
인간관
*인간은 인지왜곡에 빠지기 쉬운 존재
*자신의 사고에 따라 감정,행동을 경험하는 존재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T-(2) (0) | 2024.04.01 |
---|---|
CBT-(2) (2) | 2024.04.01 |
합리∙정서∙행동 치료(5) (0) | 2024.03.27 |
합리∙정서∙행동 치료(4) (0) | 2024.03.26 |
합리∙정서∙행동 치료(3) (0)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