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

정신분석(5)

임뚱 2024. 2. 14. 21:16
728x90
우리는 모두 신경증 환자이다. -프로이트

i) 개요

프로이트는 히스테리, 신경증 등 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증상의 원인은 외상 경험을 통한 감정들이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증상으로 발현된 것이라 생각하였습니다. 하나, 환자들 마다 이러한 기억들이 실재와는 많이 다르단 걸 알며 내면적 욕망과 공상이 증상을 초래하는 주된 심리적 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며 심리적 역동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 내면세계에는 원초아, 초자아, 자아가 있으며 자아의 기능을 강조하였습니다. 자아는 외부 현실을 고려하며 원초아, 초자아에 대한 요구들을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아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며 무의식적 갈등이 심화되며 증상을 초래하게 됩니다.

 

불안을 느끼게 되면 그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방어기제를 너무 융통성 없이 부적절하게 사용하면 현실적응을 저하시키며 정신병리를 유발하게 됩니다.

 

ii) 특정 정신장애 원인(정신분석 관점)

1. 히스테리(전환장애): 히스테리의 경우 무의식 속에 억압된 감정들을 표출하려는 경향과 동시에 불안이 공존하게 되며 신경과적 증상인 운동기능 마비, 감각마비 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2. 범불안장애: 범불안장애의 경우 원초아와 자아 사이 갈등으로부터 발생됩니다. 이러한 범불안장애는 여러 가지 요인 개인적, 사회적, 심리적, 생리적 등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3. 강박장애: 범불안 장애에서 말한 원초아와 자아 사이 갈등으로부터 발생된 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방어기제를 사용한 결과입니다.

 

4. 공포증: 무의식속에 자리 잡은 공포감이 외부로 대치 또는 전의 된 결과입니다.

 

5. 우울증: 프로이트가 정의한 우울증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과 같은 상실경험은 중요한 부분을 잃은 슬픔뿐만 아닌 자신을 두고 떠난 사람에 대한 원망과 분노를 유발한 결과입니다.

728x90

'상담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분석심리학(1)  (0) 2024.02.18
정신분석(6)  (0) 2024.02.16
정신분석(4)  (2) 2024.02.13
정신분석(3)  (2) 2024.02.10
정신분석(2)  (0)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