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에 대해 구분 설명할 수 있는가?
1) 심리검사란?
심리검사란 평가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정의로 심리검사란 심리학적 측정 도구 또는 기법을 사용하여 개인의 행동을 수량화를 통해 규준에 빗대어 행동을 예측하도록 도와주는 검사 도구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이 규준이다. 규준이란 규범이 되는 기준으로써 심리검사를 통한 개인의 행동 점수를 규준에 빗대어 해석하여 행동을 예측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능검사를 통해 IQ-100점을 얻었다 하면 이는 평균적인 IQ점수로써 보통의 사람으로 칭하게 된다. 허나, IQ-70점 또는 IQ-130점을 얻었다면 이는 각각 경계선 지능자 또는 고지능자로 구분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MMPI검사를 통해 우울척도의 점수가 평균 이상의 점수가 나타난다면 이는 우울에 대한 고통을 겪고 있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이처럼 심리검사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시행절차, 검사환경, 해석과정, 상담자의 태도나 언어 등 규준으로 정해져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지금까지의 심리검사 내용을 읽어 보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개인의 행동이 기분 따라 또는 환경 따라 그날의 컨디션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거 아니야?" 이러한 의문의 대답은 맞다입니다. 이러한 심리검사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심리평가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2) 심리평가란?
심리평가란 심리검사와 더불어 수검자와의 면담, 행동관찰 등 다양한 절차들을 수행하고 심리검사에 대한 정보를 종합 설명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의 가족환경, 과거에 발생된 병명, 유년기 시절, 교육의 정도 등 정보가 해당됩니다.
보통의 심리평가 단계로는 1. 의뢰된 내용에 빗대어 적절한 심리검사를 구성한다 2. 심리검사는 해당 검사에 규준에 맞게 실시 진행한다. 3. 검사 이후 수검자와의 면담, 행동관찰을 하게 된다. 4. 이후 검사결과에 대한 이유나 타당성을 전문적 지식을 가진 심리사가 해석합니다.
이렇듯 심리평가는 심리검사보다 더욱 전문적이고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지식과 임상심리학적 지식 다양한 임상경험 등을 활용하여 심리검사에 대한 결과를 수검자의 상황과 연결 지어 적절히 설명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 "심리평가는 심리검사보다 더욱 전문적이며 더 큰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또, 심리평가는 문제해결과정을 돕기 위한 특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심리검사의 경우 단지 행동 수준을 수량화하여 예측 설명하는 것에 그치지만 평가의 경우 수검자 주변 환경이 현재 문제에 어떠한 영향, 개인적 특성에 대한 영향 또 문제의 원인과 더불어 치료 계획적 조언, 치료 진행 중 행동의 변화 정도 등 종합적인 내용을 제공합니다.
3)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의 차이점
1. 심리검사는 일정한 규준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평가의 경우 검사자의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고 진행하게 된다.
"평가도 일정한 규준이 정해져서 이루어지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평가 또한 의뢰된 문제를 보고 적절한 검사를 설정하고 검사 규준에 맞게 실행하며 마지막에 종합하는 과정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유연성이란 예시로 의뢰된 내용에 적절한 검사를 구성하였지만 지금 당장의 수검자의 상태가 검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우울, 불안, 공포 등이 심한 경우) 일단 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한 이후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유연성에 대한 내용은 학교장면에서 생각해보면 글 읽기나 이해하는 것에 미숙한 초등학생 저학년의 경우 해당 부모님 또는 교사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기도 하며 부모면담을 활용합니다. (집중력도 다소 떨어져 제대로 된 검사진행이 어려움)
2. 심리검사는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심리평가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한 특성을 가진다.
3. 심리검사는 굉장히 객관적인 반면 심리평가는 주관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심리검사의 객관성이란 행동점수의 환산을 통한 규준에 빗대어 상대적 위치로 행동을 예측하기 때문에 굉장히 기계적이라 생각하면 쉽습니다.
하나, 심리평가의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수검자에 대한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주변환경, 교육배경, 가족관계 등 검사자의 전문적 지식을 종합 설명하여 이유를 설명하고 문제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한 과정들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주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리검사와 평가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에 대한 이해 (4) (1) | 2024.02.07 |
---|---|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에 대한 이해(3) (0) | 2024.02.06 |
심리검사와 심리평가에 대한 이해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