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T-(2)
i) 주요 개념
1. 자동적 사고
자동적 사고란 어떠한 사건이나 상황에서 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이 아닌 인지과정 없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자동적 사고는 핵심신념보다 변화하기 쉽습니다. - 따라서 치료계획 단계에서 가장 먼저 다루게 되는 부분입니다.
*자동적 사고는 의식적으로 인지하기 어렵지만 노력과 훈련을 통해 인지 가능합니다.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 일시 부적응적 감정,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자동적 사고의 표현은 언어, 심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자동적 사고는 스키마 - 핵심신념 - 중간신념 순서로 영향을 미칩니다.
2. 인지적 오류
인지적 오류란 현실을 부정적으로 왜곡 및 과장하여 해석한 결과입니다.
1. 선택적 추상화: 특정 부분만에 집착하여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인지 오류입니다.
ex) 논문 발표 시간에 80%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나머지 20%의 부정적 반응에만 집착하여 자신의 논문을 전체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
2. 과잉 일반화: 한 두 번의 사건으로 모든 사건이 다 그럴 거라 단정 짓는 인지오류
ex) 잘생긴 남자친구를 사귀고 있는 여자 학우가 있는데 이때 남자친구가 바람을 펴서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때 여자 학우는 "잘생긴 남자들은 다 얼굴 값하는구나"라고 한 두 번의 사건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경향
3. 개인화: 자신과 무관한 사건이나 상황이지만 자신 때문이라 생각하게 되는 인지적 오류
ex) 길을 지나가다가 벤치에 앉아 있던 여자들이 비웃듯이 웃고 있는 모습을 보고 "못생긴 나를 보고 웃는 게 분명해"라고 생각하는 인지 오류입니다. 실제로 그 여자들은 핸드폰에 웃긴 동영상을 보고 있었습니다.
4. 임의적 추론: 충분한 정보나 근거 없이 그 상황을 해석하려는 인지적 오류입니다.
ex) 친구가 바쁜 상황이라 카톡 답장을 못하였지만 개인은 "이제 내가 싫어져서 멀리하려는구나"라고 생각하며 관계를 정리하려는 오류
5. 확대/축소: 부정적 부분은 굉장히 확대하고 긍정적 부분은 축소하여 해석하는 인지 오류입니다.
ex) 자신의 발표 시간에 교수님이 한숨을 쉬는 것을 보고 "이번 발표 완전히 망쳤구나"라며 확대해서 해석하고 수업이 끝나고 나가면서 다른 사람들이 "이번 발표한 사람 잘하더라"라고 말하면 나가는 걸 보며 "할 말 없으니 빈말을 하는구나"라고 축소해서 해석하는 오류
6. 잘못된 명명: 사람의 특성, 성격 등 어떠한 부분에서 부정적으로 왜곡되고 과장되게 이름을 붙이는 오류
ex) 자신을 소개할 때 '저는 실패자입니다.'로 소개하는 경우
7. 이분법적 사고: 사건이나 상황을 해석할 때 중간이 없이 극단적으로만 해석하려는 오류
ex) 시험을 앞둔 학생이 '이번 시험에 따라서 내 인생은 성공 또는 실패야'라고 생각하는 경우